Q&A 뇌전증 증후군에 속하는 뇌전증의 종류?, Q&A What type of epilepsy belongs to epilepsy syndrome?
뇌전증 증후군에 속하는 뇌전증 종류를 다음 도표 20에서 설명한다.
도표 20
|
뇌전증 증후군에 속하는 뇌전증의 종류 |
뇌전증의 증상․징후 |
|
■ 소아 결신 발작 뇌전증(Childhood absence epilepsy/Petit mal epilepsy) |
▪ 소아 뇌전증의 2~4%가 소아 결신 발작 뇌전증이다. ▪ 3~10세경 이 뇌전증이 발병한다. ▪ 잠깐 동안 공백 상태에서 멍하는 징후가 생긴다. ▪ 특이한 뇌파 검사 결과가 나타난다. ▪ 이 뇌전증의 40%는 자연히 완화되거나, 10대가 되면 완화된다. |
|
■ 연소성 근(육)간대 뇌전증 (Juvenile myoclonic epilepsy) |
▪ 아주 건강한 10대 아이들에게 이 형의 뇌전증이 시작할 수 있다. ▪ 팔이 잠간 동안 움찔움찔하는 증상이 처음에 나타나고 ▪ 아침에 일어나서 전신 발작을 할 수 있다. ▪ 항뇌전증 약물로 잘 치료된다. ▪ 대개, 성장하면서 자연히 치료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. |
|
■ 양성 롤랜딕 뇌전증(Benign rolandic epilepsy/Benign partial epilepsy) |
▪ 3~13세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뇌전증이다. ▪ 침을 흘리고 말을 할 수 없는 등의 얼굴에 관련된 증상․징후가 나타난다. ▪ 이런 증상․징후가 나타난 후 전신 경련을 할 수도 있다. 이런 발작은 주로 밤에 일어난다. ▪ 그 외에는 건강하다. ▪ 95%가 15세가 되기 전에 더 이상 발작을 하지 않는다. |
|
■ 영아 연축 (Infantile spasm) |
▪ 발작 인식과 발작 1차 응급 처치 도표 5 중 5를 참조한다. ▪ 갑자기 근(육)간대 발작이 군집으로 빨리 생기고 ▪ 팔을 뻗치거나 구부리고, 움찔움찔하고, 몸을 굽히면서 발작을 한다. ▪ 뇌파 검사에서 특이한 결과가 나타난다. ▪ 1세 전에 발병한다. ▪ 이 뇌전증이 있는 아이들에게 발육기형이 생기고 다른 형의 뇌전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. ▪ 스테로이드와 항뇌전증 약물로 치료한다. |
|
■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 (Lennox-Gastaut syndrome) |
▪ 소발작(결신 발작), 긴장발작 등 여러 형의 발작이 같이 생길 수 있고 ▪ 치료하기 어려운 뇌전증이다. ▪ 신체가 빳빳이 단단해질 수 있고 ▪ 수면 발작이 생기기도 하고 ▪ 탈력 발작, 경련 발작 등이 생길 수도 있고 ▪ 특이한 뇌파 검사 결과가 나타난다. ▪ 1~5세경에 발병한다. ▪ 발육지연이 생기고 정신지체아가 된다. |
|
■ 라스무센 증후군 (Rasmussen’s syndrome)
|
▪ 한쪽 뇌의 이상으로 생긴다. |
|
■ 란다우–클레프프너 증후군(Landau-Kleffner syndrome)
|
▪ 언어기능을 잃는다. |
Q&A What type of epilepsy belongs to epilepsy syndrome?
The types of epilepsy belonging to the epilepsy syndrome are described in Table 20 below. Table 20
|
뇌전증 증후군에 속하는 뇌전증의 종류 Types of epilepsy belonging to epilepsy syndrome |
뇌전증의 증상․징후 Symptoms and signs of epilepsy |
|
■ 소아 결신 발작 뇌전증(Childhood absence epilepsy/Petit mal epilepsy) |
▪Children’s absence seizure epilepsy accounts for 2-4% of epilepsy in children. ▪ Around the age of 3 to 10, this epilepsy develops. ▪ Signs of dizziness after a brief pause. ▪ Unusual EEG test results appear. ▪ 40% of these epilepsy cases resolve spontaneously, or when they reach their teens. |
|
■ 연소성 근(육)간대 뇌전증 (Juvenile myoclonic epilepsy) |
▪ This type of epilepsy can begin in very healthy teenagers. ▪ The first symptoms of twitching while the arm is asleep ▪ You may have generalized seizures when you wake up in the morning. ▪ It is well treated with anti-epileptic drugs. ▪ Usually, it does not heal spontaneously as you grow up. |
|
■ 양성 롤랜딕 뇌전증(Benign rolandic epilepsy/Benign partial epilepsy) |
▪ It is an epilepsy that occurs in children aged 3 to 13 years. ▪ Symptoms and signs related to the face, such as drooling and inability to speak, appear. ▪ You may have generalized convulsions after these symptoms/signs appear. These seizures usually occur at night. ▪ Otherwise, it is healthy. ▪ 95% no longer have seizures before the age of 15. |
|
■ 영아 연축 (Infantile spasm) |
▪ Seizure Recognition and Seizure First Aid See Table 5 of 5. ▪ Sudden, rapidly clustered myoclonic seizures ▪ Seizures by stretching or bending the arm, twitching, and bending. ▪ The EEG test shows unusual results. ▪ Onset before 1 year of age. ▪ Children with this type of epilepsy may develop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nd develop into other types of epilepsy. ▪ Treat with steroids and anti-epileptic drugs. |
|
■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 (Lennox-Gastaut syndrome) |
▪ Several types of seizures, such as small seizures (absence seizures) and tonic seizures, may occur together. ▪ Epilepsy is difficult to treat. ▪ The body can become stiff ▪ You may have narcolepsy ▪ Catalytic seizures, convulsive seizures, etc. may occur. ▪ Unusual EEG test results appear. ▪ It develops around the age of 1 to 5 years. ▪ Growth retardation occurs and the child becomes mentally retarded. |
|
■ 라스무센 증후군 (Rasmussen’s syndrome)
|
▪ Caused by abnormalities in one brain |
|
■ 란다우–클레프프너 증후군(Landau-Kleffner syndrome)
|
▪ loss of language skills |
출처 및 참조 문헌 Sources and references
-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
-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
-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
- Red Book 32nd Ed 2021-2024
- Neonatal Resuscitation, American Academy Pediatrics
- For more information or advice about epilepsy, contact Epilepsy Action Australia on 1300 37 45 37 or email epilepsy@epilepsy.org.au
- Harvard Medical School, The Michael J. Bresnan Child Neurology Course September 15-19 2014
- Hand Book of Pediatric Neurology Katherne B. Sims, Juriaan M. Peters, Patricia L. Musolino, M. Zelime Elibol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권 소아청소년 예방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3권 소아청소년 성장 발육 육아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4권 모유,모유수유, 이유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5권 인공영양, 우유, 이유식, 비타민, 미네랄, 단백질, 탄수화물, 지방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
- www.drleepediatrics.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
- www.drleepediatrics.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0권.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1권.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2권.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, 행동 수면 문제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3권. 소아청소년 혈액, 림프, 종양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4권. 소아청소년 내분비, 유전, 염색체, 대사, 희귀병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5권. 소아청소년 알레르기, 자가 면역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6권.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7권.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8권. 소아청소년 이비인후(귀 코 인두 후두) 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제19권. 소아청소년 안과 (눈)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(치아)질환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
- www.drleepediatrics.com 제25권 임신, 분만, 출산, 신생아 돌보기
- Red book 29th-31st edition 2021
-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- 21st Edition
- The Johns Hopkins Hospital, The Harriet Lane Handbook, 22nd edition
-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
-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
- 소아가정간호백과–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, 이상원 저
- The pregnancy Bible. By Joan stone, MD. Keith Eddleman, MD
- Neonatology Jeffrey J. Pomerance, C. Joan Richardson
- Preparation for Birth.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
-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. 이상원
- Breastfeeding.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
-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, Development, Cares,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
-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, By Ross Lab. May 1989. p.10
- Emergency care,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
-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
-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, Roger M. Barkin, Peter Rosen
-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, Delmer J. Pascoe, M.D., Moses Grossman, M.D. with 26 contributors
- Neonatal resuscitation Ameican academy of pediatrics
-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
-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, Stephen M. Schexnayder, M.D.
-
Pediatric Critical Care,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, James P. Orlowski, M.D.
-
Preparation for Birth.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
-
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, Saul Krugman, Samuel L Katz, Ann A.
- 제4권 모유, 모유수유, 이유 참조문헌 및 출처
- 제5권 인공영양, 우유, 이유, 비타민, 단백질, 지방 탄수 화물 참조문헌 및 출처
- 제6권 신생아 성장발육 양호 질병 참조문헌 및 출처
-
Neurology in Pediatrics, P. F. Bray, Yearbook Medical Publishers
-
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, Bakwin and Bakwin
- 소아과학 대한교과서
- 의학 용어사전 대한 의사 협회
- The Michael J. Bresnan Child Neurology course. Continuing Medical Education, Boston Children’s Hospital, Harvard Medical School. September 2014
- Epilepsy Foundation, New England and Conn USA
- Epilepsia 2010
- ILAE;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
- Epilepsy Society, Antiepileptic drugs
- Epilepsy & My child Toolkit epilepsy Foundation